PRESTIGE INSIGHTS
고품격 라이프스타일, 스마트한 트렌드 분석.
변화하는 시장을 읽고, 한 발 앞선 선택을 돕는 깊이 있는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Prestige Insights에서 미래를 위한 인사이트를 만나보세요.
퇴직연금 계좌에 월배당 ETF 담기 – 절세와 수익을 동시에
퇴직연금 계좌, 아직 펀드만 담고 계신가요?
월배당 ETF를 활용하면 퇴직연금 계좌를 보다 안정적이고 수익성 있는 투자처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절세 혜택과 안정적 현금흐름을 모두 잡을 수 있는 ‘월배당 ETF + 퇴직연금’ 전략을 소개합니다.
📌 목차 바로가기
- 1. 퇴직연금 계좌의 특징과 과세 구조
- 2. 월배당 ETF의 장점과 선택 기준
- 3. IRP, 연금저축에 월배당 ETF를 편입할 때 유의점
- 4. 추천 월배당 ETF TOP 3
- 5. 월배당 ETF + TDF 조합 전략
- 6. 퇴직연금 수령 시 전략적 분할 인출법
1. 퇴직연금 계좌의 특징과 과세 구조

퇴직연금 계좌는 일반 과세 계좌와 달리 투자 수익에 대해 이연 과세 혜택을 제공합니다. 연금저축과 IRP에 각각 연간 400만 원, 700만 원까지 납입 시 세액공제 혜택이 있으며, 계좌 내에서 발생한 수익은 인출 시까지 과세되지 않습니다. 인출 시에는 기타소득으로 과세되며, 분할 수령 시 세율을 낮출 수 있습니다.
2. 월배당 ETF의 장점과 선택 기준

월배당 ETF는 매월 정기적인 배당을 제공해 현금흐름 확보에 유리합니다. 배당 수익률이 높은 종목일수록 복리의 효과가 크며, 장기 투자 시 복리 성장의 기반이 됩니다. 선택 시 총보수(Expense Ratio), 운용 규모(AUM), 과거 배당 안정성 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IRP, 연금저축에 월배당 ETF를 편입할 때 유의점

IRP나 연금저축 계좌에 ETF를 편입할 경우, 국내 상장 ETF만 가능하다는 제약이 있습니다. 따라서 QYLD, JEPQ와 같은 미국 상장 ETF는 직접 편입이 불가능하며, 타겟 상품으로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354350) 등 국내 상장형 상품을 고려해야 합니다.
4. 추천 월배당 ETF TOP 3

-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 (354350): 나스닥 대표 종목에 콜옵션 매도전략으로 배당수익 확보
- KODEX 미국고배당커버드콜 (406400): 고배당+커버드콜 전략의 결합
- TIGER 미국S&P500배당귀족 (322130): 배당 증가 기업 중심의 장기성장형 배당 ETF
5. 월배당 ETF + TDF 조합 전략

최근에는 TDF(Target Date Fund)와 월배당 ETF를 혼합한 전략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TDF는 생애주기에 맞춰 리스크를 자동 조정하는데, 월배당 ETF를 일부 편입하면 연금 자산의 현금흐름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비율은 TDF 70~80%, 월배당 ETF 20~30% 구성이 적절합니다.
6. 퇴직연금 수령 시 전략적 분할 인출법

퇴직연금은 수령 방식에 따라 과세 부담이 달라집니다. 일시금 수령 시 3.3~16.5%의 기타소득세가 부과되지만, 10년 이상 분할 수령하면 연금소득세(3.3~5.5%)로 낮아집니다. 월배당 ETF를 통해 연금 외 추가 수입을 확보하면 유동성을 높이고 세금도 줄일 수 있습니다.
#퇴직연금전략 #월배당ETF #절세투자 #연금계좌활용법 #노후자산관리 #퇴직연금ETF #경제적자유계획
'Smart W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연금저축계좌 추천 ETF TOP 5 – 수수료와 수익률 기준 (1) | 2025.06.07 |
---|---|
월세 대신 월배당? 부동산 대신 고배당 ETF에 투자한 3년 결과 (7화) (2) | 2025.06.06 |
월배당 ETF 재투자 vs 인출 – 20년 후 누구의 계좌가 커질까? (6화) (6) | 2025.06.04 |
고배당 ETF를 자동매수하면 생기는 일 – 복리의 마법 (5화) (2) | 2025.06.03 |
2025년 고배당 ETF 월별 배당 캘린더 – 언제 들어오나? (4화) (6) | 2025.06.02 |